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축 통화란? 기축통화의 뜻, 국가, 역사

by 마케터co 2022. 2. 22.
반응형

1. 기축 통화란?

기축 통화란 국제단위에서 금융거래에 기본이 되는 화폐, 즉 돈을 이야기합니다. 과거엔 영국의 파운드화가 현재에 이르러서는 미국의 달러, 일본의 엔, 유로화 등이 기축통화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통적으로는 금이 계속해서 기축통화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2. 기축 통화 개요

기축 통화는 영어로 Key currency라고 합니다. 1960년대 미국의 교수인 트리핀 교수가 최초로 주장했습니다. 기축 통화는 국제단위의 거래에서 기준이 되는 통화기 때문에 그 통화를 발행하는 국가의 영향력이 중요합니다. 군사력이나 외교력이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 신용도와 물가 역시 중요합니다. 그리고 전통적인 기축통화인 금의 보유량도 많아야 합니다. 현재 이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 바로 미국이죠. 그래서 현재의 기축 통화는 달러가 된 것입니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중국의 위안화도 기축 통화로서의 후보로 거론되긴 하지만 달러와는 비교가 되기 힘들기도 하고, 환율의 통제 등 자유로운 거래가 힘들기 때문에 아직까진 기축통화로 보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기축 통화는 누군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통념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느낌입니다.

 

기축 통화가 되면 여러 가지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장점의 경우 외국과 거래를 할 때 복잡하게 환전할 필요 없이 본인의 통화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합니다. 또 더러 기축통화가 되면 그 나라는 외환위기로부터 자유로운 나라가 된다는 오해가 있습니다. 하지만 기축통화가 된 나라라면 그만큼 강력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축통화가 될 수 있었던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습니다.

 

또 무역 거래를 할 때 필연적으로 적자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달러가 국내에서만 순환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으로 나가 돌아야만 기축통화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Pixabay

3. 기축 통화의 역사

근대시대까지는 기축통화라고 할만한 통화는 없었습니다.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기 힘들 없던 점도 그것에 한몫을 하기도 합니다. 영향력이 강했던 나라에 따라 기축 통화의 지위를 가지기는 했지만 화폐에 들어간 귀금속의 중량이 더 중요했던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전 세계의 기축 통화라고 할 수 있는 통화가 나타났습니다. 바로 영국의 파운드 화입니다. 파운드화는 17세기 이후부터 기축 통화로 인정받다가, 2차 세계 대전 이후 급부상한 미국이 금본위 제도를 시행하면서 달러에 그 지위를 넘겨주게 됩니다.

 

기축 통화 이야기를 하기 위해선 금본위 제도를 아는 것도 좋습니다만, 이건 내용이 길어 간단히만 알아보고 다음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화폐 단위의 가치를 일정량의 금과 등가 관계가 성립하도록 유지하는 제도입니다. 미국의 경우 2차 세계 대전 이후, 1971년까지 브레튼우즈 시스템이란 이름의 제도를 운영했었습니다. 이 제도에 따르면 35 달러를 미국 중앙은행에 주면 금 1온스로 교환해주는 제도였습니다. 이런 제도를 통해 달러의 가치를 안정시켜 갔었습니다.

출처 - Pixabay

달러가 기축 통화가 된 이후에는 유로화, 위안화 등이 기축 통화로서의 지위를 넘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달러의 지위가 확고합니다. 그나마 달러를 제외한다면 역시 금이 가장 안정적인 기축 통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 금 역시 엄청난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 보유량이 유로존과 일본, 중국의 금 보유량보다 많다고 하니, 대단하죠?

 

역사상 기축 통화의 지위를 누렸던 통화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갔습니다.

로마의 솔리두스, 히피르피론 (금화) / 유로존의 조상 격이라고 볼 수 있는 두카트(중세부터~1차 세계대전 전까지 유럽에서 사용한 금화) / 멕시코의 페소(은화) / 네덜란드의 길더/휠던(은화-> 지폐로 발전) / 프랑스의 프랑 / 영국의 파운드 스털링(영국의 통화 계열 전반) / 소련의 루블(냉전시대 소련과 동유럽권)

 

미래의 기축 통화의 지위는 과연 어떤 화폐가 가지게 될까요? 가상화폐는 그 지위를 얻을 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여기까지 기축 통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